종목 관련/종목분석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주가 분석

말조련사 2023. 4. 10. 12:00
반응형

간단 목차

  1. 기업개요
  2. 주요 계열사
  3. 업계현황
  4. 매출 현황 & 매입현황 & 생산가동률 & 생산실적 & 연구개발비용
  5. 재무상황 & 지분현황 & 주요 거래처
  6. 최근 이슈
  7. 주의
  8. 정리

1.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기업개요 Kencoa Aerospace Corporation Company Overview

2013년 4월 설립되었으며 항공기부품 제조 및 판매 항공기 설계 제조업을 주영업으로 록히드마틴, 에어버스, 보잉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둔 만큼 항공우주 전문기업이다 주 사업 영역은 크게 보면 5개로 구분된다

 

1.우주 및 항공기에 사용되는 특수 원소재를 공급
2.항공기의 생산 및 항공기 부품의 제조 담당
3.군용기 제조 창정비 및 여객기 혹은 화물기 개조사업을 포함하는 항공 MRO
4.우주발사체 및 위성 관련 파트 생산
5.UAM,PAV 개발 제조

 

특히 MRO 사업은 국내에서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

 

MRO사업은 보갑한 기체를 분해하고 점검 안전검사 등을 요한다 :)


2.주요 계열사

Kencoa Group LLC, 동우켄코아, 켄코아에비에이션 비상장으로 세 곳이 있다

Kencoa Group LLC 유한책임회사로 소수로 이루어진 주주들이 채권자에 대해 한도 내 자기의 투자액을 부담하는 회사

동우켄코아는 자동차엔진부품 항공기부품제조업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

켄코아에비에이션은 도심항공교통 UAM 자율주행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

 

Kencoa Aerospace LLC 미국항공산항공기 및 우주발사체 부품가공 전문업체

California Metal & Supply Inc 우주항공 분야 원소재 공급하는 전문 업체


3.업계 현황

항공산업 특징이라면 반도체 산업에 비해 개발, 양산, 사용 기간이 2~3배 이상 더 소요되며 대규모 R&D 투자가 요구된다 다만 생산 프로세스의 철저한 검증을 거친 긴밀한 협력관계를 요하는 부분 생산대수가 적기 때문에 민항기 기준으로 평균 가격대가 대략 1,000억 원 이상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반도체 산업이나 타 산업에 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또 엄청난 안전을 요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으로부터 까다로운 인증들을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높은 비용은 다른 기업들이 함부로 진입할 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로 국제항공분야 특수공정인 NADCAP, 품질시스템 인증인 AS9100, 미국연방항공청 FAA, 유럽항공안전청 EASA 인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우주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와중에 IT 부문에서 창출된 엄청난 민간 자본이 재사용 로켓 개발의 변화를 주도해 결국 저궤도위성의 발사비용을 절감시키고 광대역 위성 인터넷 시장의 실현을 앞당기게 됐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들이 생기고 있어 수익 창출에 있어 긍정적이다

 

또 글로벌적으로 미래성장산업으로 UAM (Urban air Mobility) 시장에 막대한 투자가 들어가고 있다

 

시장 상황은 글로벌적으로 항공여객 수요 증가로 민간항공기의 생산이 매년 5% 성장, 방산 군용기 생산은 주요국가의 국방예산 유지 및 증대로 견조세 또한 국내 또한 항공우주산업 매출액이 연평균 20% 성장하고 있다


4.매출 현황 . 매입현황 . 생산 가동률 . 생산실적 . 연구개발비용

항공기 및 항공기 부품 생산이 매출액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방산 부문과 민수부분

 

해당기업은 우주항공 원소재 사업이 미국 우주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미국 내 매출액이 전년대비 6% 정도 상승했고 에어버스 계열 기종의 여객기 화물의 개조사업의 수주로 유럽 수출액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

매출비중
매출실적

매입현황

생산 가동률

생산실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실적

현재 하이브리드 스마트드론 및 고정밀 3차원지도생선 무인시스템, 재난치안용 멀티콥터 무인기 공동플랫폼 기술개발을 상품화 진행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 다가올 UAM 모빌리티시장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과제의 수행실적 또한 대부분 성공을 한 상황이다


5.재무 상황 . 지분 현황 . 주요 거래처

 

재무상황

2022년 흑자전환 후 순익을 꾸준히 방어하는 모습

 

지분현황

 

28% 오너 외 일반 투자자

 

 

 

주요 거래처는 보잉, 스트릿에어로, 등 민항기 제조업체와 보잉, 록히드마틴 등 방산 항공기 제조업체 또한 나사, 스페이스엑스, 블루 오리진 등 우주 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거래처는 한국우주항공, 대한항공,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Pixabay -NASA-imagery

6.최근 이슈

2023년 4월 기준 지난해 창사 이래 최고 매출을 경신했다 2022년경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80억, 32억 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에 성공 후 순익을 꾸준히 방어하고 있다 같은 기간 매출 또한 전년 대비 39% 증가한 759억 원 달성하고 98분기 연속 최대 기록을 했으며 여객기 및 화물기 재조 MORO 사업의 성장 궤도에 오르며 매출 성장세를 이끌었다 

 

특히 MRO 유지 보수 사업의 양산 안정화 구간에 진입해 매출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매출 기대감도 있다

 

또한 글로벌적으로 우주개발에 힘을 많이 쏟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2023년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 등 안건에 따르면 올해 우주 개발에 8742억 원의 투자를 결정

 

외에도 국방예산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모멘텀 또한 긍정적으로 보인다


7.주의

 

외환 쪽으로 리스크가 있는데 매출 80% 이상이 해외 수출로 인한 달러 같은 외화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에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있는 편이다 또 단기적으로 많이 오른 상황이라 투자 시 주의가 필요

 

월봉기준


8.정리

국내나 글로벌이든 결국 국방 예산은 꾸준히 올라가고 있고 우주항공에 대한 기대감 UAM 모빌리티의 교통 혁신 등 새로운 에너지 자원을 얻기 위해서라도 그리고 모빌리티 산업이 커질수록  전기 수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탄소중립에도 긍정적으로 보인다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굵직한 기업들과의 거래 그리고 생산 가동률 또한 70% 이상 올라가고 있는 추세 또한 긍정적으로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다만 매출 80% 이상이 해외 수출이다 보니 환율에 민감하니 글로벌 경기 분위기에 따른 투자는 포인트가 될듯하다 모두 성공적인 투자가 되길 기원한다

반응형

'종목 관련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주가 분석  (0) 2022.12.23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분석  (0) 2022.12.20
쏘카 주가 분석 #01  (0) 2022.12.11